서울대병원 병동별 층수 안내 | 본관 vs 분관 위치 및 진료과 차이 총정리 (2025)

서울대병원 병동별 층수 안내

서울대병원은 본관과 분관을 포함한 여러 건물로 구성되어 있어 처음 방문 시 병동 및 진료과 위치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 병동별 층수, 엘리베이터 위치, 본관과 분관의 차이를 2025년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.

서울대학교병원은 광범위한 외래 및 입원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, 각 병동이 위치한 건물 및 층수에 따라 진료과와 검사실이 다르게 배치되어 있습니다.


건물 층수 주요 시설 및 진료과
본관 지하 3층 ~ 지상 15층 – 1층: 내과 접수, 약국, 안내데스크
– 2층~5층: 외래 진료과 (내과, 외과, 소아청소년과)
– 6층~15층: 일반 병동 (병실), 중환자실
– 지하 1층: 영상의학과, 채혈실, 문서발급센터
분관 (어린이병원 포함) 지하 2층 ~ 지상 8층 – 1층~3층: 소아청소년과, 소아외과, 재활의학과
– 4층~8층: 소아병동, 집중치료실
– 지하: MRI실, 주사실
암병원 지하 6층 ~ 지상 8층 – 종양내과, 방사선종양학과, 항암주사실
– 고형암·혈액암 전문 병동
– 지하: 방사선 치료실, 약제팀

방문자들은 보통 본관 1층에서 전체 접수 및 안내를 받은 뒤, 해당 진료과 건물로 이동하게 됩니다. 간단한 검사(채혈, 영상)는 대부분 본관 지하 1층에서 처리되며, 병동 입원 시에는 담당 병동 위치를 문자 및 문서로 안내받습니다.

엘리베이터는 각 건물마다 별도로 운행되며, 본관의 경우 환자용·직원용이 구분되어 있으니 환자용 엘리베이터 전용 탑승구역을 이용하세요.


  • 본관은 성인 중심 진료, 분관은 소아 및 재활 중심 진료
  • 암병원은 고형암, 혈액암, 방사선 치료 특화
  • 병원 내 연결통로 존재 (우천 시 이동 가능)

주의사항: 처음 방문 시 병동 찾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, 각 건물 입구 안내센터에서 층별 병동안내 리플릿을 꼭 수령하세요.